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미국 소기업 11% 아시안 소유

전국 소기업의 11%를 아시안이 소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직원 4명 이하의 영세 기업이지만, 이들은 자신의 사업을 소유하는 것이 ‘아메리칸 드림’이라고 봤다.   퓨리서치센터는 23일 연방 중소기업청(SBA)과 자체 설문조사 결과를 종합한 ‘미국 소기업 현황’ 보고서를 발표했다. SBA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직원 500명 이하의 소기업은 약 600만 개로 전체 기업의 99.9%를 차지한다. 이중 직원이 4명 이하인 영세 기업이 49%에 달했다.   소기업은 대부분 백인 차지였다. 전체 85%가 백인(히스패닉 포함) 소유였다. 소수인종 중에선 아시안의 비중이 11%로 가장 컸다. 흑인은 3%였다.   아시안은 자신의 사업을 소유하는 것이 ‘아메리칸 드림’의 일환이라고 보는 경향이 있었다. 퓨리서치센터의 작년 조사에 따르면 아시안의 30%가 아메리칸 드림에 있어 사업체를 소유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답했다.   소기업 소유주는 대부분 남성이었다. 2021년 기준 남성이 소유한 소기업은 전체 61%였으며 여성 소유는 22%였다. 남성과 여성이 공동으로 소유한 경우는 14%였다.   코로나19로 잠시 주춤하긴 했지만, 소기업에 대한 관심은 여전히 크다. 센서스국에 따르면 2023년 사업자 신청 건수는 180만 건으로 2019년 130만 건에서 크게 증가했다.   주로 인구가 많은 지역에서 수요가 늘었다. 플로리다가 22만5800건 건으로 1위를 차지했고 캘리포니아(22만1500건), 텍사스(15만1800건), 뉴욕(13만1200건) 등이 뒤를 이었다.   소기업 중 다수(59%)가 최소 6년 동안 운영됐다. 이 가운데 25년 이상 운영해온 기업도 전체의 15%에 달했다. 설립 5년 이하의 신생 소기업은 35%였다.   한편 소기업에 대한 미국인의 인식은 매우 긍정적이었다. 퓨리서치센터 연구에 따르면 성인 86%가 소기업이 사회에 좋은 영향을 미친다고 답했다. 군대(60%), 교회(59%)를 훌쩍 뛰어넘는 평가였다.   레베카 레퍼트 퓨리서치센터 연구원은 “많은 소기업이 코로나19 등 시련을 겪었지만 기업가 정신을 유지하고 있다”며 “각 기업의 규모는 작지만 전체적으론 연간 16조2000억 달러의 수익을 올리는 등 결코 작지 않다”고 말했다.  이하은 기자 [email protected]미국 소기업 소기업 소유주 아시안 소유 전국 소기업

2024-04-23

“아시안 혐오는 잘못된 선입견·경계심 표출”

“팬데믹을 통한 아시안 혐오의 바탕에는 ‘책임 회피’라는 거대한 게으름이 있었다.”   마크 다카노 연방 하원의원은 이렇게 규정했다. 국가적 위기 상황을 잘 대처하지 못한 리더들이 이를 아시아 국가들의 책임으로 떠넘겼고 사회적으로 아시안 기피, 외국인에 대한 피해 의식을 양산했다는 것이다.     다카노 의원은 한인 이민의 태생지인 리버사이드(41지구, 39지구)에서 2013년 이후 줄곧 활동해왔다. 1960년 리버사이드에서 태어난 그는 선조들이 전쟁 중 강제 수용됐던 아픔을 잘 알고 있다. 게다가 그는 23년 동안 교사로 일하다 아시안 중 동성애자로 연방의회에 처음 진출한 특별한 이력을 갖고 있다. 올해 초에는 베트남 참전 한인에 대한 지원안 ‘VALOR(밸러) 법안’을 통과시켜 주목받았다.   지난주 연방 의사당 레이번 하원 빌딩에서 그와 만났다. 그는 도산 안창호 선생과 홍명기 회장 같은 인물들이 매우 자랑스럽다고 전했다.     -학생들에게 역사를 가르친 교사 출신이다. 아시안 증오 범죄의 뿌리는 어떻게 이해하나.     “전시 일본인 수용은 전형적으로 아시안들에 대한 두려움이 극화된 경우다. 미국인들이 잘 이해하지 못하는 것들이 있다. 1860년대에 통과된 수정헌법 14조(속지주의 원칙으로 흑인 노예 후손에게 시민권 허용)에 따라 1880년대에 미국 태생 중국인 그룹이 소송을 제기해 시민권을 받기 전에는 1세 이민자들과 아시안 자녀들은 ‘2등 시민’이었다. 1900년대 초기까지 아시안들은 이민 허용이 안 됐으니 경제활동, 주택구매 등에서 모두 배제된 것인데 이런 차별과 경계가 증오 범죄의 태동이라고 봐야 한다.”     -당시 소송으로 가주 내 첫 아시안 소유가 된 집이 이제 사적지로 보호받고 있다고 들었다.     “일본인 주키치 하라다가 1910년대 주택 소유 등록을 할 수 없어서 갓 태어난 아들의 이름으로 등록했는데 아들이 사망했다. 합법적으로 소유권 이전을 받을 수 없었던 하라다는 당시 외국인의 주택 소유가 금지됐던 가주 헌법에 맞서 소송을 제기해 승소했다. 당시 하라다의 집은 현재 연방 정부 사적지로 지정됐다. 기록에 따르면 당시 하라다는 전쟁 발발 후 일본인 수용소로 가야 했고 자녀들은 미군으로 입대해 총을 들어야 했다.”     -70~80년대의 아시안은 미국에 무엇이었나.     “50~60년대는 전쟁과 같은 국제적인 갈등 속에서 아시안들을 바라봤고, 이후 록펠러 센터를 일본인이 사고, 일본과 한국 자동차와 전자제품들이 대거 미국에 수입되면서 경계심은 증폭됐다. 제조업이 모두 중국으로 가던 시기다. 이때 디트로이트에서 빈센트 친 살해 사건이 터졌다. 일본인을 혐오했던 백인들이 길거리에서 무고한 중국인을 살해한 것이다. 아시안들에 대한 잘못된 선입견과 경계심이 극단적으로 표출된 것이다. 2020년 팬데믹의 현실에서 아시안에 대한 혐오감은 극대화됐다. 국가 지도자가 무능의 책임을 죄 없는 길거리 아시안들에게 돌린 탓이다.”     -범죄 현황에 대한 수치 축적이 없는 것도 문제다.     “맞다. 지역구에서 크게 보고된 혐오 범죄가 없는 듯해서 다행이다. 하지만 신고 시스템과 함께 범죄 수치가 연방에 보고돼 관련 입법에 영향을 줘야 한다. 하지만 아직 효과적으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큰 문제다.”     -지난해 지역 주, 연방 의원들이 모여 범죄 척결을 결의한 바 있다.     “이후 연방법무부가 관련 기소 조치를 늘리고 데이터 마련에 필요한 조치들을 하겠다고 알려왔다.”   -차별에 맞선 노력의 일환으로 정치력 신장과 커뮤니티 지원을 이야기하며 한인사회 안창호 선생과 홍명기 회장을 언급했다.     “미주 한인사회의 초기 리더이자 한국의 독립운동을 지원한 도산 안창호 선생이 계신 곳을 대표할 수 있어서 자랑스럽다. 작고하신 홍명기 회장님도 큰일을 하신 분으로 존경한다. 동시에 베트남 참전 한인 재향군인들이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일조할 수 있어서 감사하다. 미국은 베트남 참전 한국군을 항상 기억해야 한다.” 글·사진=최인성 기자 [email protected]의원회관 레이번 마크 다카노 아시안 혐오 아시안 소유

2023-09-20

아시안 소유기업, 소수계 업체 중 최다

전국 소수계 비즈니스 숫자가 117만 개를 넘어섰고, 그 중 절반 이상이 아시안 소유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시안 소유 업체는 히스패닉·흑인 소유 업체 수를 압도적으로 넘어서고 있다.     5일 연방 센서스국이 발표한 ‘2021 연간 비즈니스 설문조사’(ABS) 결과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전국에서 운영되고 있는 소수계 비즈니스 수는 총 117만7582개로 집계됐다. 소수계 비즈니스는 미국 기업의 20.4%를 차지해 2019년 조사 당시(110만 개, 약 18.7%)보다 비중이 늘었다. 센서스국은 매년 고용주 다양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소수계 비즈니스 중에서도 아시안이 운영하는 기업 비중이 절반을 크게 넘어섰다. 아시안 소유 업체 수는 61만2194개로, 소수계 업체 중 51.9%를 차지했다. 아시안 다음으로는 히스패닉(37만5256개)이 소유한 기업이 많았고, 흑인(14만918개), 인도계와 알래스카원주민(4만392개), 하와이안 원주민 혹은 퍼시픽아일랜더(8822개) 등이 뒤를 이었다.     아시안 소유 기업 수는 히스패닉 소유 기업보다도 1.6배 많다. 센서스국은 “아시안 소유 기업은 미국에서 약 520만 명의 고용창출 효과를 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시안이 운영하는 사업 중엔 숙박 및 식품서비스 부문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14만5714개(23.8%)가 숙박 및 식품서비스 관련 사업이었다. 히스패닉 업주들의 경우 건설 부문에 가장 많이 종사하고 있었으며, 운송 및 창고·관리 및 지원·폐기물 관리 서비스 등을 운영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흑인 소유 기업들의 경우 헬스케어와 소셜어시스턴스 분야 사업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전국에서 소수계 업주들이 고용하는 직원은 총 990만 명으로, 이들이 피고용인에게 지급하는 연간 금액은 3574억 달러 규모였다.     한편 센서스국은 소수계 업체 비율이 늘고 있지만, 아직도 인종·민족별로 특정 산업 쏠림현상이 여전하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많은 사업가들이 사업을 시작하고 확장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지난달 상무부는 9350만 달러를 투입해 소수계 등 사업가를 지원하는 ‘자본준비프로그램’을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상무부 역사상 최대 규모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소유기업 소수계 소수계 업체 소수계 비즈니스 아시안 소유

2023-01-05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